• HOME
  • 로그인
  • 트루북토크
  • 생협매점 주막
  • 레드유투브채널
  • 레드스쿨 블로그
레드스쿨로고
  • 레드소개
  • 학교공간
  • 레드 공간
  • 코치공간
  • 학부모공간
  • 학습공간
  • 레드스터디
  1. 레드소식
  2. 레드 할아버지방
  3. 레드 나눔방
  4. 3분 스토리
  5. 학사일정
  6. 레드갤러리
  7. 정지(급식실)
  8. 건의사항
  • 레드소식
  • 레드 할아버지방
  • 레드 나눔방
  • 3분 스토리
  • 학사일정
  • 레드갤러리
  • 정지(급식실)
  • 건의사항
rightheader02_00.jpg

우리가 수련이나 연수를 가면

종종 기존 이름들을 내려 놓고

새로운 별칭을 지어 불러 줍니다.

그렇게 새롭게 이름을 지어 부를때에

만나는 새로운 새계가 있습니다.

이는 그동안 이름에 붙어 있던 것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본질에 가까운 경험들을 하게 하는

아주 좋은 수련 테마 중에 하나입니다.

저도 이 테마에 대해서 아주 좋은 신선한 경험이 있고

지금도 수련 인도 중에 자주 사용하는 테마입니다.

 

요즘 새로운 학교에서도 선생님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별칭을 부르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그렇게 부를 때에 오는 친밀감이 있습니다.

정겹고 다정합니다.

그런데 그 친밀감과 다정함만으로는

않되는 것이 교육이고 훈련이고 학교입니다.

짧게 며칠간 훈련하는 수련이나 연수회, 심성 수련에서는

별칭을 지어 부르는 것이 더 효과작일수 있습니다.

 

그런데 학교는 아주 오랜 기간동안을 함께 해야 하기에

친밀감과 다정함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나의 평소 생각이었습니다.

그것과 더불어 권위가 꼭 있어야

선생님의 가르침이 전해지고

선수를 훈련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소신입니다.

아이들이 순한 양의 모습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때는 아이들이 늑대가 되기도 하고 여우도 됩니다.

쥐새끼같기도 하고 박쥐 같기도 합니다.

호랑이 같기도 하고 곰 같기도 합니다.

그때 그때에 맡게 아이들을 가르치고 훈련해야 하는 것이

선생님들의 임무이자 사명이고 실력입니다.

 

그래서 교육은 예술 중에 예술입니다.

교육은 최고의 아트입니다.

학교는 그런 새로운 창조가 수 없이 일어나는

예술 창조의 장입니다.

선생님은 교육 예술가이십니다.

 

그래서 우리 레드 스쿨에서는 선생님이라 하지 않고

별칭이나 샘이라 부르게 하지 않고

코치 선생님이라, 교육 에술가라 부르게 합니다.

 

코치라는 원뜻은 어느 목적지에 데려다 주는 것입니다.

우리 레드 스쿨은 설립 목적이 있고

실현하고 싶은 가치들이 있습니다.

그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는 곳에

학생 하나하나를 선수 하나하나를

분명하게 데려다거 놓는 사람,

그런 코치이자 작품하는 예술가이시자 선생님이십니다.

 

우리 레드 스쿨에서는 선생님을

무지와 가난에서 탈출시키는 선수들의

코치 선생님이라 부릅니다.

우리 레드 스쿨에서는

아이들이 삶을 예술로 가꿀 수 있도록 작품하는

교육 예술가라 부릅니다.
 

2009, 11, 3
아침햇살


id: 노을노을

2010.12.16 17:26:16
*.184.150.106

선생님이 아닌 코치 선생님 아니 더욱더 빛나는 교육 예술가에 다다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레드9 - 선생님이 아닌 코치선생님 [1]

  • R.E.D
  • 2010-01-11
  • 조회 수 408

우리가 수련이나 연수를 가면 종종 기존 이름들을 내려 놓고 새로운 별칭을 지어 불러 줍니다. 그렇게 새롭게 이름을 지어 부를때에 만나는 새로운 새계가 있습니다. 이는 그동안 이름에 붙어 있던 것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본질...

레드5 - 건지탐아신 [1]

  • R.E.D
  • 2010-01-11
  • 조회 수 428

사람은 모름지기 원만해야 합니다. 모나거나 삐뚤어진 사람이 아니라 균형이 잡혀 조화로운 삶을 사는 사람, 제가 되고 싶은 사람이고 나를 만난 사람들을 안내하고 싶은 삶입니다. 그러고 보니 우리 큰스승들도 다 이 길을 ...

레드8 - 학생이 아닌 선수 [1]

  • R.E.D
  • 2010-01-11
  • 조회 수 435

어제는 우리 레드스쿨에 입학하려는 학생들과 부모님들을 면담을 했습니다. 학부모님들의 마음이 내게 남아 이 아침에도 찡하게 울려 오네요. 자식이 잘 되는 길이라면 그 무엇이든 하고 그 어디든 가셨던 분들입니다. 또 그 어...

레드10 - 교실에서 학교실로 [1]

  • R.E.D
  • 2010-01-11
  • 조회 수 438

지난 여름 레드스쿨 예비학교를 열고 설립자로서, 교장으로서 학생들과 만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그때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우리 학생들에게 어떤 학교를 세워 줄까요? 잠시 침묵이 흐르더니 몇몇 학생이 대답을...

레드6 - 무가탈 프로그램 [1]

  • R.E.D
  • 2010-01-11
  • 조회 수 443

지난 해 가을이었습니다. 비가 오는 오후 나절에 책상과 침대를 오가면서 책을 읽다가 올라오는 물음이 하나있었습니다. 그래 아침햇살, 네가 하는 일을 간단하게 한마디로 말해봐? 그때 저는 서슴 없이 삶을 예술로 가꾸는...

레드7 - 아는 것으로 부터의 탈출 [1]

  • R.E.D
  • 2010-01-11
  • 조회 수 450

지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무엇을 모르는지를 모르는 무지가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무엇을 모르는지를 모른는데 누가 무엇으로 어떻게 하겠습니까? 부분지식이 있습니다. 자기가 알고 있는 것...

생각을 생각하기49 - 수준

제 눈이 안경입니다. 자기 의식의 수준만큼 볼 수 있고 자기 의식의 깊이만큼 만날 수 있습니다. 2010, 8, 30 아침햇살

생각을 생각하기47 - 바닥

오늘 따라 발바닥이, 손바닥이 참 고맙습니다. 바닥을, 밑바닥을 잃어버리지 말아야지 하는 다짐을 합니다. 그런 다짐을 하니 마음이 맑아집니다. 2010, 8, 23 아침햇살

72번째 살아가기 작품에 들어 가면서

여름의 막바지 초록이 지쳤는지 벌써 낙엽들이 아하 정원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변화의 신비 앞에 경건해지는 아침입니다. 요즘 저는 어떻게 하면 우리 람들을 균형 잡힌 통합적인 삶을 살게 할까로 몰두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증오와 폭력도 배우는 것입니다.

아버지가 어머니를 때리는 것을 보고 자란 아이들의 특징이 있습니다. 아이들도 거의가 매를 맞고 자란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매를 맞고 자란 아이들은 아예 기가 죽어있는가 하면, 아버지에게 배워서 자기도 무의식중에 폭력을 ...